어제에 이어서 2주차의 마지막이자, 입문주차의 마지막 부분을 학습했다.

 

범위로만 따지면 2.9~ 2.11에 해당하는 부분이라 금방 끝날 것으로 예상하고

오늘 숙련주차를 들어갈까 말까를 생각했었는데,

 

입문주차 마무리를 겨우 할 정도로 빠듯했다.

 

 

2.9 코드 서식 정리하기

에 해당하는 부분은, 이전 과제에서 Prettier 를 간단하게 다루고 넘어갔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알고있던 부분이다. 

{
    "printWidth": 50,
    "tabWidth": 4,
    "singleQuote": false,
    "trailingComma": "es5",
    "semi" : false,
    "arrowParens": "always"
  }

나름대로 원하는 스타일로 prettierrc.json 을 작성 해 보았다.

singleQuote 부분은 기본적으로 single을 사용할 예정이지만,

한글이 포함되거나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문자열만 "" 을 사용해보려고 한다. (최소한의 개성..?)

물론 변동될 수 있지만 말이다

 

 

 

2.10 배포를 위한 Git 학습 

또한 이전 과제와 그 전에 해당하는 최초의 과제를 진행하며 어느정도 학습한 부분이 있다.

다만, 이전에는 Github Desktop 라는 최신식(?)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를 갖는 보조도구를 사용했기에

이번에는 강의에 나온 것 처럼 터미널을 이용하여 Git 과 연동하는 작업을 해 보았다.

 

 

 

Github desktop가 알아서 처리해줬던 부분인,

Git 명령어를 먼저 알아보았다.

 

 

 

 

간단하게, 이미 알고있던 desktop 의 방식과 비교하며 정리해볼까? 

 

 

git init 은 현재 위치한 경로를 git repository로 지정하는 명령어 이다.

GUI 에서는 create new repository를 통해 init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디렉토리를 지정하여 새로운 레포지토리 생성)

아마 Add local repository도 비슷한 기능인듯 하다.

오히려 이쪽에 가까울지도?

 

변경 사항을 스테이징 영역에 올리는 명령어로..

이 부분은 아마 Github desktop를 이용한다면 스킵되어버리는 명령어로 확인이 되어진다.

뭔가 생소한 기능인것 같아서 검색을 해보니, Github desktop 에서는 commit 과 동시에 add가 이루어진다 

라고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개인적으로는 gui의 인터페이스에서

레포지토리로 지정한 폴더의 모든 파일이 자동으로 add 된다는 느낌이긴 한데 맞을지 모르겠다.

(일단 모든 파일이 add 되고, 커밋을 할지 ignore 할지 결정하는 느낌?)

 

 

 

깃의 대표적인 기능중 하나로, 변경사항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 시점으로 얼마나 내용이 수정되었는지, 등록이 되기 때문에 

원한다면 등록했던 많은 커밋 중 하나의 시점으로 파일을 복원하는것이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코멘트를 달아서 해당 커밋의 내용을 직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저지른다

 

 

 

본격적으로 git과 github 를 연결하는 명령어로, 

정확히 말하면 로컬 저장소에 원격 저장소를 추가하는 기능이라고 설명되어있다.

commit, push 한 데이터가 어디로 날아갈지 지정하는 명령어 이다.

 

Github desktop 에서는 첫 레포지토리 생성 후

commit 등 원격 저장소를 필요로하는 작업을 하기 전에 

Publish resository를 통해 지정하게 되어있다.

github desktop 에 로그인된 github 계정에 자동으로 연결된다.

 

 

 

클론으로 repository를 생성한다면, 

클론 할 원격 저장소의 주소가 바로 필요하기 때문에, 시작과 동시에 

입력을 하게 되어있다.

git clone 과 remote add 기능이 합쳐졌다고 보면 될 듯 하다.

 

push 는 commit 한 내용을 본격적으로 원격 레포지토리에 업로드 하는 명령어 이다.

 

GUI 에서는 commit 을 하면, 자동으로 push 를 진행하는 버튼이 활성화 된다.

 

 

 

 

push 가 업로드 라면, pull 은 다운로드 라고 할 수 있다.

원격 저장소에 push된 최신 변경사항들을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는 작업을 말한다.

GUI 에서는 해당 명령을 통해, 아직 적용되지 않은 최신 사항을 체크 할 수 있으며,

있을 경우 pull 버튼이 활성화 되어, 비교 및  적용이 가능하다.

 

 

 

2. 11    AWS 배포하기 

오늘 가장 난해했던 부분이다.

 

이전 강의를 통해 만든 서버를 본격적으로 배포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본 사양의 서버인 EC2 에 해당하는 서버를 1년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대인배  클라우드 서비스 라고 할 수 있다. (물론 프리티어라도 막쓰면 1년 내에 요금이 나올수도 있다)

 

 

강의에서 알려주고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용한 만큼의 요금이 발생하는 유료 서비스 이며,

잘못 사용 할 경우 금전적인 문제 또는 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알아보고 조심조심소심소심; 하며 진행했고....

시간을 많이 잡아 먹었다 ! !

 

아무튼간에 회원가입과 EC2 인스턴스의 생성은 마쳤고,

 

 

pm2 를 활용하여 app.js 를 구동하는것도 성공했다.

 

웹 브라우저로 접근했을때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모습 !!

위에 보이는 5252 는, 같은 조원이 해당 페이지에 접속해서 남긴 글이다. 

다른 사람도 접근이 가능한것을 확인 !

 

 

pm2 log를 통해 로그도 정상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여기까지 봤으면 그래도 오늘 할 일은 다 한듯 하다..

 

 

 

+ Recent posts